현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에서는 광복 8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근‧현대 화가들이 그려낸 ‘고향의 풍경’을 돌아보는 특별전 《향수(鄕愁): 고향을 그리다》가 진행 중입니다.
이번 전시에는 고향 울진의 산세를 주제로 평생의 화업을 이어온 유영국의 ‘산’ 연작이 출품되었습니다. 유영국에게 ‘산’은 단순한 자연의 풍경이 아니라, 고향과 존재의 근원, 그리고 삶의 내면을 투영하는 정신적 풍경이었습니다. 그는 눈앞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기보다, 기억과 감정의 층위를 색면과 형태로 환원하며 자연의 본질을 추상적으로 그려낸 한국적 모더니즘의 선구자입니다. 〈산〉(1984)은 전통 산수화의 두루마리 구성을 연상시키는 수평적 화면 위에, 서로 맞물린 산의 능선을 단순한 색면으로 배열한 작품입니다. 그에게 산은 ‘그리움의 대상’이자 ‘내면의 형상’이었으며, 울진의 풍광은 그가 평생 탐구한 자연과 추상의 경계로 이어졌습니다. 전시는 내년 2월 22일까지.
On view at the MMCA Deoksugung: A Commemorative Exhibition for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𝘓𝘢𝘯𝘥𝘴𝘤𝘢𝘱𝘦𝘴 𝘰𝘧 𝘏𝘰𝘮𝘦𝘭𝘢𝘯𝘥 𝘢𝘯𝘥 𝘓𝘰𝘯𝘨𝘪𝘯𝘨.
The exhibition features Yoo Youngkuk’s Mountain series, a lifelong body of work inspired by the landscape of his hometown, Uljin, Korea. For Yoo, the mountain was not merely a natural subject but a spiritual landscape—a reflection of his homeland, his origin, and his inner being. Rather than depicting what he saw, Yoo abstracted the memory and emotion of the landscape into planes of color and form, pioneering a distinctly Korean modernist language that sought the essence of nature. 𝘔𝘰𝘶𝘯𝘵𝘢𝘪𝘯 (1984) evokes the horizontal scroll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rean landscape painting, arranging interlocking ridgelines as simplified color fields. For him, the mountain was both an object of longing and a mirror of the self; the terrain of Uljin remained the wellspring of his art, a place where nature and abstraction converged.